![](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7zRkK/btqFFVrxVTY/52RGOv21Vm8FmkOWP1ZsiK/img.png)
Deinitialization 소멸자 소멸자(deinitializer)는 클래스 인스턴스가 메모리 해제될 때 즉시 호출되는 함수입니다. 스위프트의 소멸자는 deinit 키워드를 사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작성방식은 생성자인 init와 유사합니다. 스위프트 소멸자는 구조체가 아닌 클래스 타입에서만 작성 가능합니다. How Deinitialization Works 소멸자의 작동방식 Swift는 특정 클래스 인스턴스가 더이상 필요없을 때 해당 인스턴스를 자동적으로 메모리 해제합니다.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말이죠. Swift는 이러한 메모리 관리를 Automatic Reference Counting(관련 포스팅 링크), 줄여서 ARC라는 방식으로 수행합니다. 전형적으로, 특정 클래스 인스턴스를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89uRq/btqFAqTh1n2/odcuXRxBbjwkOQMYlmD070/img.png)
안녕하세요. 개발자 멍구입니다. 🤗 스위프트에는 기본적으로 while이라는 문법이 있습니다. 다른 여타 언어들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게 while문이지요. 다른 언어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또다른 while문법이 있습니다. 바로 do-while인데요. 스위프트에서 do-while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Repeat-While입니다. 바로 Swift의 Repeat-Whil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스위프트의 do-while, Repeat-While Swift에서 while 루프의 변형 문법으로서, repeat-while 루프문이 존재합니다. repeat-while 루프는 먼저 해당 블록 내의 코드를 1회 실행 후, 루프 조건(loop condition)을 참고하여 해당 블록 반복여부를 판단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f2Kg3/btqFAqsa0tF/VuEE22fkOCjBMXp97bWuc0/img.png)
안녕하세요? 개발자 멍구입니다. 🤗 오늘은 스위프트문법 관련 개발자문서 내용에서 볼 수 있는, "메서드 안의 메서드" 중첩함수(Nested Function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Nested Functions "메서드안의 메서드" 중첩 함수(메서드) 메서드는 전역적으로 사용되는 전역메서드가 존재하고, 클래스나 구조체 내에서 지역적으로 선언되는 메서드도 존재합니다. 심지어, 메서드 내에 또 다른 메서드가 정의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메서드 안에 메서드가 중첩으로 정의되었을때 메서드 내부의 메서드를 가리켜 중첩 메서드, 중첩 함수(Nested Functions)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중첩 메서드는 해당 메서드 밖으로는 감추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정의된 메서드 내부에서는 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5guZj/btqFAPrKsnT/bVrgS8vscrJukuBl3dHLr0/img.png)
Variadic Parameters 가변 매개변수 오늘은 스위프트 문법인 Variadic Parameters, 가변 인자, 가변매개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Variadic Parameter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구체적인 그 의미를 구글 번역기를 통해 찾아봤지만... 위와 같이 그 뜻을 한국어로 알려주지를 않는 모습입니다.(구글번역기알못) 😢 결론적으로 Variadic의 뜻을 보자면, "임의의 갯수 인수를 받을 수 있는"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임의의 갯수를 받을 수 있다" 라는게 어떤 것인지 밑에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말하자면, Variadic parameter는 0개 ~ 다수의 특정 타입 인수를 받을 수 있는 매개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Variadic 매개변수는 특정 타입을 명시해..
- Total
- Today
- Yesterday
- swift언어
- swift string
- createML
- 컬렉션
- 부스트코스
- 프로그래머스
- 스위프트
- Protocol
- swift
- 알고리즘문제
- Swift 알고리즘
- 백준알고리즘
- swift문제
- ios
- swift 문자열
- 알고리즘
- publisher
- CoreML
- swift알고리즘
- SwiftUI
- Collection
- 백준swift
- swift 기초
- 김프매매
- 개발자문서
- 프로토콜
- swift reduce
- 프로그래머스swift
- 자연어처리
- uiki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